-
AWS 웹사이트 배포 (7) / Filezilla로 EC2 서버 원격 접속하기Programming/Web Programming 2023. 6. 1. 23:08
이번에는 임대한 AWS 서버컴퓨터(EC2)에서 원격으로 접속하는 방법을 배워볼 것이다.
이 포스팅은 강의를 듣고 공부했던 내용을 기록한 내용이다.🧐
* 강좌는 아래 링크에서 수강하고 있다.
클래스 101 [유료강좌]
개발자 사관학교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https://class101.net/ko/products/619b3c6b776fd0000d72459b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
웹 페이지, 열심히 공부했는데 아직도 여러분 컴퓨터에서만 확인할 수 있나요? 이제 사이트 배포도 해봅시다! HTML, CSS 학습에서 멈추실 건가요? 웹 개발을 공부했다면, 배포까지 해보셔야 합니다
class101.net
CHAPTER 3: AWS에서 컴퓨터를 임대해서 현업 개발자처럼 배포하기 (2)
[1. EC2 인스턴스에 컴퓨터에서 원격으로 접속해보기 (FTP)]
가장 먼저해주어야 하는 작업은
내 컴퓨터에서 AWS 서버 컴퓨터로 웹서비스 폴더(front+back)를 옮기는 일이다.
그러기 위해서 'FileZilla'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다.
구글에 들어가서 filezilla를 검색해 Download FileZilla Client를 들어간다.
(또는 아래 링크 참고)
https://filezilla-project.org/download.php
운영체제는 자동으로 세팅되어 있었다.
Download 버튼을 눌러 설치해준다.
(MacOS 경우 폴더 접근을 묻는 팝업이 뜨는데 허용을 꼭 눌러줘야 한다.)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왼쪽에는 내 컴퓨터의 폴더들이 뜨고 오른쪽에는 '서버에 연결되지 않았음' 이라고 뜬다.
AWS 서버 컴퓨터 연결을 위해 화면 왼쪽 위에 컴퓨터 세개가 그려진 아이콘을 누른다.
새사이트 버튼을 누른 뒤, 원하는 이름으로 바꿔준다.
그리고 오른쪽 설정들은 사진과 같이 바꿔주었다.
프로토콜은 STFP로
호스트는 아래처럼 AWS Instance에서 주소를 찾아 복붙해준다.
* 중요한 것은 사용자를 임대했던 서버컴퓨터인 ubuntu로 적어주어야 한다.
AWS Instance 탭에 원하는 서버를 누르고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페이지로 넘어간다.
Pubic IPv4 address 아래에 IP주소가 바로 임대한 서버 컴퓨터의 주소이다.
이 주소를 호스트에 복붙해주어야 한다.
로그인 유형을 키파일로 변경한 뒤, 받아두었던 키체인 파일을 업로드 해준다.
모두 마무리 되면, 연결을 눌러준다.
비밀번호는 저장해주기로 설정했다.
보장할 수 없다지만 접속을 위해.. 신뢰하고 확인했다..😵💫
연결이 완료되면 오른쪽에 연결된 서버컴퓨터 폴더가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서버가 들어있는 Node.js폴더를 옮기기 전에,
서버 컴퓨터 ubuntu 폴더 안에 www라는 폴더를 새로 만들어준다.
이 안에 파일들을 옮길 것이다.
서버 컴퓨터에 옮겨줄 파일들을 선택한다.
.git폴더가 있다면 제외해주고, .DS_Store도 맥북에서 자동으로 생성해주는 파일이기 때문에 빼고
나머지를 파일을 전체 선택 한뒤..
www폴더를 더블클릭해서 폴더를 열어주고
안으로 드래그앤 드랍한다.
그러면 꽤 긴시간 동안 파일이 업로드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node_modules에 서버에 관련된 다양한 도구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오래 걸리는 모양이다.
(한 1시간 넘게 기다린 것 같다.🤔)
콘솔 창에 보면 간혹가다 빨간 글씨로 아래처럼 에러가 뜨기도 하는데..
나중에 문제가 생길 경우 서버에 원격접속해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지금은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약 1시간 반정도 기다리니 파일이 다 옮겨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단 콘솔 로그에 더이상 아무것도 뜨지 않으면 끝난 것이다.)
[2. EC2 인스턴스에 컴퓨터에서 원격으로 접속해보기 (SSH)]
EC2 서버에 명령어를 통해 원격으로 접속해보자!
명령어 입력을 위해 터미널을 열어준다.
(윈도우는 git-bash라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받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로 서버에 접속해보자.
ssh -i 키 파일 주소 ubuntu@서버ip주소
키파일 주소는 키파일을 명령어에 그대로 끌어다 놓으면 된다.
ssh -i 한칸 띄고
파일을 그대로 드래그앤 드랍한 뒤 엔터를 눌러주면,
그러면 정말로 연결할까? 하는 메시지가 뜬다.
yes라고 답해준다.
처음 접속하는 거라면 위와 같은 denied 메시지가 뜬다.
해당 키페어를 신뢰할 수 없다는 내용이다.
당황하지 않고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해당 키페어를 신뢰할 수 있다고 명시한다.
chmod 600 키파일 주소 (마찬가지로 키파일을 드래그앤 드랍)
Welcome to Ubuntu 라는 문구와 함께 아래같은 메시지가 뜨면 접속이 완료된 것이다.
초록 글자로 뜨는 ubuntu@ip주소가 나타나면 무사히 원격 접속이 완료된 것이다!👍
앞서 파일질라로 만든 www폴더 안에 옮겨준 파일이 잘 있는지, 리눅스 명령어로 확인해준다.
다행히 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만든 웹사이트를
EC2 서버에서 작동시키는 내용을 다룰 예정이다.
강좌를 보면서 따라하니 다행히 별탈없이 되어가고 있다.
마지막까지 잘 완료되길!!
출처: 클래스101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학교
'Programming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웹사이트 배포 (9) / EC2 +gabia 도메인 구입하고 적용하기 (0) 2023.06.02 Web 웹사이트 배포 (8) / EC2에 Node.js 프로젝트 옮기기 (0) 2023.06.02 AWS 웹사이트 배포 (6) / workbench와 database 연결 (MySQL) (0) 2023.06.01 AWS 웹서비스 배포 (4) / RD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이용하기 (0) 2023.05.31 AWS 웹서비스 배포 (3) / EC2 서버 컴퓨터 임대하기 (0)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