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웹사이트 배포 (6) / workbench와 database 연결 (MySQL)Programming/Web Programming 2023. 6. 1. 09:30
이번에는 Workbrench을 사용해서 MySQL 데이터베이스를 확인해보는 방법을 배워볼 것이다.
이 포스팅은 강의를 듣고 공부했던 내용을 기록한 내용이다.🧐
* 강좌는 아래 링크에서 수강하고 있다.
클래스 101 [유료강좌]
개발자 사관학교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https://class101.net/ko/products/619b3c6b776fd0000d72459b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
웹 페이지, 열심히 공부했는데 아직도 여러분 컴퓨터에서만 확인할 수 있나요? 이제 사이트 배포도 해봅시다! HTML, CSS 학습에서 멈추실 건가요? 웹 개발을 공부했다면, 배포까지 해보셔야 합니다
class101.net
CHAPTER 2: AWS에서 컴퓨터를 임대해서 현업 개발자처럼 배포하기 (1)
[5. mysql을 명령어 없이 확인 / 관리하기! (Workbench 사용법)]
쉽게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엑셀 형태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workbench를 설치해보자.
구글에 mysql workbench라고 검색하면 바로 Download mysql workbench 페이지가 나온다.
또는 아래 링크를 타고 들어가면 된다.
https://dev.mysql.com/downloads/workbench/
MySQL :: Download MySQL Workbench
Select Operating System: Select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Ubuntu Linux Red Hat Enterprise Linux / Oracle Linux Fedora macOS Source Code Select OS Version: All Windows (x86, 64-bit) Recommended Download: Other Downloads: Windows (x86, 64-bit), M
dev.mysql.com
맥OS를 이용중이라 기본 세팅은 맥으로 되어있다.
arm과 x86 중에서 m2맥을 사용중이기 때문에 arm을 선택했다.
당연히 m1이후 세대니까 arm이겠지?! 라고 생각했는데
왠지 정확하게 확인해보고 싶어서 구글링해보니 다음 명령어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터미널에 uname -p라고 치면 된다.
시크하게 알려준다.
버전을 선택하고 Download를 누르면 로그인하라는 창을 보여준다.
신경쓰지 않고 맨 아래쪽에 No thanks, just start my download를 눌러주면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설치를 완료하고 실행시키면 메인창이 나타난다.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위해 MySQL Connections옆에 작은 + 버튼을 눌러준다.
그리고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하나하나 차례대로 입력해준다.
원하는 connection name을 작성해주고 (데이터베이스 이름과 달라도 무관하다. 헷갈릴 것 같아 그냥 똑같이 맞췄다.)
Connection Method는 Standard (TCP/IP) 그대로 둔다.
Hostname에는 지난 포스팅에서 긁어왔던 Endpoint 데이터베이스 주소를 또 그대로 넣어준다.
username에는 RDS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했던 유저 네임을 입력해준다.
Password 입력을 위해 Store in Keychain 버튼을 눌러준다.
등록했던 패스워드를 입력한다.
여기까지 마쳤다면 Test Connection을 눌러준다!
위와 같이 성공메시지가 뜨면 완료된 것이다.
새로 추가한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눌러 열어본다.
처음 여는 것이라 그런지 대기창이 뜨고 10초 정도 후에 페이지가 열렸다.
파일이 열리면 맨 왼쪽에 Schemas탭을 눌러준다.
Tables 내부를 살펴보면 연결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반가운 마음에 막 클릭했더니 에러가 생겨 당황했다..😱
차분한 마음으로 원하는 테이블에 커서를 갖다대면 맨 오른쪽에 달력(?) 모양 아이콘이 뜬다.
이 아이콘을 눌러주면 테이블이 열린다.
실제로 저장된 데이터들이 보인다.
테스트삼아 값도 수정해보았다.
수정을 원하는 요소를 더블 클릭하여 내용을 바꾸고 엔터를 누른다.
그러면 하단에 Apply Revert 버튼이 나타나는데, Apply를 눌러준다.
그러면 정말 이렇게 코드를 입력해 바꿔줄까~? 하는 창이 뜬다.
인터페이스에서 클릭하고 내용을 적고 엔터를 누른것 뿐이지만,
내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MySQL 명령어를 입력하는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workbench를 이용하면 매우 편리할 뿐더러 겸사겸사 MySQL명령어 공부도 가능하다.
Apply를 눌러 적용해준다.
데이터베이스가 성공적으로 업데이트 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실제로 웹사이트에 들어가보니, 정말로 데이터가 변경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 클래스101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학교
'Programming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웹사이트 배포 (8) / EC2에 Node.js 프로젝트 옮기기 (0) 2023.06.02 AWS 웹사이트 배포 (7) / Filezilla로 EC2 서버 원격 접속하기 (0) 2023.06.01 AWS 웹서비스 배포 (4) / RDS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이용하기 (0) 2023.05.31 AWS 웹서비스 배포 (3) / EC2 서버 컴퓨터 임대하기 (0) 2023.05.31 AWS 웹서비스 배포 (2) / AWS 가입하고 사용해보기 (0) 2023.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