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vvv gamma
-
vvvv gamma : Controlling Patches / VL7.Graphics/VVVV gamma 2023. 10. 8. 06:43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LOX32diUgOQ?si=TZeH1j2nQCxK3nQA 마지막 튜토리얼 영상이다.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한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내용이었다. 우선, 지난번에 Sphere들의 위치로 랜덤하게 움직이는 Box예제를 가져왔다. 1. Mouse Mouse 노드를 추가해서 RootScene에 추가한다. (RootScene의 input 핀을 늘이기 위해서는 Ctrl + 를 누른다.) Mouse 노드의 position in the world 아웃풋을 XYz노드를 추가해 연결한다. 그리고 Box의 TransformSRT의 Translation에 연결한다. => 마우스의 위치에 따라 박스가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Switch 노드에 대해 알아볼 것..
-
vvvv gamma : Spreads & Iteratio / VL6.Graphics/VVVV gamma 2023. 10. 7. 00:01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3u3QOd4UyWM?si=eh6v0s6EA1VC_miC 지난번 영상에서 만들었던 것과 같은 구조에서, Box가 여러개의 Sphere의 위치로 랜덤하게 움직이는 결과를 만들 것이다. 우선, 여러개의 Sphere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똑같은 내용을 계속 복사해서 붙여넣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Cons(/spread): 여러개의 데이터(float, integer, vector)를 받아 하나의 Spread로 묶어준다. (여기서는 output이 Spread이다.) ForEach(/이텔릭체): splicer로 통과시키면 해당 Spread의 개수만큼 반복된다. ..
-
vvvv gamma : The Stride Rendering Pipeline / VL5.Graphics/VVVV gamma 2023. 10. 6. 21:49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4rDgVe1F0gg?si=1A0--d5V-nrpfBDW 이 영상에서는 3D 오브젝트를 렌더해보는 내용을 다뤘다. 1. VL.Stride Stride는 일종의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할 수 있는 패키지를 모아놓은 것처럼 보인다. 우선 나의 프로젝트에 Stride 패키지를 추가해야 한다. VL.Stride를 검색하면 +VL.Stride라는 박스가 나타나는데 눌러 추가한다. 그리고 stride를 다시 검색해보면 아래처럼 폴더가 나타난다. 폴더를 열어보면 아래처럼 다양한 노드들이 나타난다. 살펴보면 Camera, Rendering, Textures 등 3D 렌더와 관련된 다양한 노드들이 나타난다. 먼저 창을 띄우기 위해서 SceneWindow를..
-
vvvv gamma : Type Conversion / VL4.Graphics/VVVV gamma 2023. 10. 6. 00:06
* 아래 영상을 보고 작성한 노트이다. https://youtu.be/r1X0VJ9oumQ?si=6jBELeilcxWg904m 1. Boolean float Integer 간의 conversion boolean을 float과 integer에 연결할 수 있다. 토글을 누르면 값이 1(true)이 되고, 꺼지면 0(false)이 된다. 2. 조건식 conversion (float과 integer은 기본적으로 연결할 수 없다.) 1. Floor float값의 소수점 아래로는 버린다. (integer와 연결 가능) 2. = input 두값이 같으면 boolean값으로 true호출 3. isOdd input 값이 홀수면 true 호출 3. vector 간의 conversion vector(join)과 vector..
-
vvvv gamma : Nodes & Pins / VL3.Graphics/VVVV gamma 2023. 10. 5. 22:37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eCTEAFfb9rQ?si=N6ubVmVnfw4NOl7z 1. Node: LFO (Pins - Output과 Input 개념) 예시로 LFO 노드를 추가하였다. LFO노드: 0부터 1까지 증가하는 사이클을 반복하는 노드. Period (input): 반복되는 속도 설정 (10이면 10초동안 0부터 1까지 상승) Pause (input): 일시정지 Reset (input): 반복되었던 횟수 reset Phase (output): float32타입으로 값의 상승을 직접 볼 수 있음 On New Cycle (output): 1이 되면 true가 됨 Cycles (output): 반복 횟수 출력 *Boolean 타입의 input과 output..
-
vvvv gamma : Data Types & IOBoxes / VL2.Graphics/VVVV gamma 2023. 10. 5. 22:06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9iH72qdb4Xk?si=PKL_iDBkdL1VmUx4 1. 데이터 변수 생성 방법 패치 화면을 더블 클릭해서 iobox를 선택하고, 데이터 타입도 선택한다. 노드를 추가하면 값도 바꿀 수 있고 (오른쪽 마우스 클릭 상태로 드래그 업 다운) 오른쪽 박스를 클릭해서 이름 지어줄 수도 있다 (Integer) Integer 부분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Configure를 열 수 있다. Type과 최대 최소값 등 다양한 설정을 바꿀 수 있다. 2. 데이터 타입 vvvv gamma에서는 데이터 타입이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 같은 데이터 타입의 변수끼리만 매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1) Boolean true와 false로만 표현되는 B..
-
vvvv gamma : Navigating the Environment / VL1.Graphics/VVVV gamma 2023. 10. 5. 21:15
Node Institute에서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튜토리얼 영상이 있다. 완전히 처음 접하는 초급자를 위한 영상이다. * VVVV gamma 5.0 Tutorial for Absolute Beginners https://youtu.be/7m1EzfxUtzo?si=61xbom0k9dart5hM 첫 영상이니 기본 ui 설명과 기능 설명이 있었다. 1. 패치 화면에서 더블 클릭하면 노드 추가 가능. 2. 노드 추가 후, f1 키를 누르면 해당 노드를 사용한 예제를 볼 수 있다. (맥의 경우, fn+f1) vvvv gamma에서 어려움이 있을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forum이 있다. 정확도가 매우 높아 특히 추천하고 싶다. https://discourse.vvvv.org/ Forum a cosy place..
-
VVVV gamma Path oriented Camera Animation / VVVV gamma 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오브젝트와 카메라Graphics/VVVV gamma 2023. 1. 20. 08:37
오늘은 웹캠의 비디오를 받아 하나의 선으로 연결해주는 vvvv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려 한다. 이 튜토리얼 마치면 지금 제작 중인 작업에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서! 도전해본다. vvvv version: vvvv gamma 2021.4.12 *Source of tutorial : Takuma Nakata, vvvv gamma Graphics Tutorial | Path Oriented Camer Animation - 우선 가장 먼저 Renderer노드를 VL.Skia 패키지 안에서 꺼내 추가해준다. 그리고 AppPoly 노드를 추가해줄 것인데 그냥 검색하면 노드가 나오지 않는다. 이름 검색하는 곳 왼쪽 옆에 화살표 키 중 아래버튼도 눌러야 AddPoly노드가 보인다. (Advanced Node여서 그런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