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Workspace
검색하기

블로그 홈

Workspace

leere.tistory.com/m

Leere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vvvv gamma : Language Methodologies / week7 #2 지난번에 만든 예제를 기반으로 객체지향형으로 작동하도록 만들어볼 것이다. 여기서 객체지향형이란,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진 코드(노드)들을 함수처럼 묶어주어 어디서든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리한 기능이다. Definitions에 Process(함수와 유사)노드를 추가해, RandomSphere 라고 이름 붙였다. RandomSphere 안에 전 예제에서 원의 크기와 위치를 바꿔주는 내용을 옮겨 붙였다. 메인 패치와의 연결을 위해, Sphere의 아웃풋핀을 만들어준다. (Ctrl 누르면서 놓기 -> 아웃풋/인풋핀 생성) 메인 패치로 돌아와 Randomsphere 노드를 두개 만든 뒤 그룹지어 연결했다. 화면에 나타나며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RandomSphere을 오른쪽 마우스 누른 뒤, ..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2. 5.
  • vvvv gamma : Language Methodologies / week7 #1 7주차에는 조건문(if)을 사용한 예제와, 객체지향형 프로그래밍을 위한 구조 설계에 관한 내용을 배웠다. 먼저 왼쪽은 마우스를 빠르게 움직일수록 큰 원이 생겨나는 예제다. 첫번째 예제는 지난주에 배운 Pad를 복습하는 내용이다. Pad는 프로그래밍으로 치면 변수를 생성하는 것과 같다. 왼쪽의 Positon 변수는 실시간으로 값이 바뀌는 반면 오른쪽 Position은 다음 프레임에서 업데이트 된다. 때문에 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의 마우스 위치가 크기가 많이 차이날수록 큰 원이 생겨나는 것이다. 두번째 예문은 if를 활용한 것이다. if 오른쪽에 condition이 true가 되면 값이 if 안의 내용이 실행된다. if 문을 사용할때의 주의할 점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input값은 연결된 선을 눌러 오.. 공감수 2 댓글수 2 2023. 12. 2.
  • vvvv gamma : Advanced 3D / week6 #1 5주차의 첫 예제는 마우스에 반응하여 움직이는 원들이다. 중요한 부분은 현재 마우스의 위치 뿐만 아니라 그 전의 위치까지, 원이 생겨나는 것이다. 또한 퍼져나가는 효과 역시 특징적이다. 결과 영상 Circle(/Stride.Textures.Source)를 추가한다. Skia.Layers circle과 두드러지게 다른 점이 있다면 직접 해상도를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점이다. Circle의 Position, Radius, Fil(Color)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자. - Position Mouse Position에 x에는 1, y에는 -1을 곱한 후 Circle Position과 연결하였다. -1을 곱해주지 않으면 정확한 마우스 위치에 원이 생기지 않는다. (이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고 한다.. 공감수 2 댓글수 1 2023. 11. 24.
  • vvvv gamma : Audio Visualization (with FFT) #2 / week5 이어서 두번째 내용이다. 글리치같은 효과를 추가되었고, 소리에 따라 원들의 크기가 커지며 여러개가 생겨난다. 전체 패치 모습이다. 효과를 추가하기 위해 SkiaTexture을 연결한다. SkiaTexture와 TextureWindow를 추가하기위해서는 VL.Stride 라이브러리를 열어야한다. (Skia와 관련된 노드인데 왜 Stride 안에 들어있는지 의문이지만 꼭 VL.Stride를 추가해주자!) ShiftRGB : RGB 색상으로 레이어가 번지도록 하는 효과. 데시벨을 가져오는 Meter와 연결하여 소리가 클수록 더욱 강하게 번지도록 했다. Info(/Textures.Utils) : 텍스처의 여러 정보값들을 보여주는 노드. 볼륨이 일정 값을 넘으면 배경색이 하얗게 바뀌도록 하는 부분이다. SkiaT..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1. 20.
  • vvvv gamma : Audio Visualization (with FFT) #1 / week5 기본개념을 토대로 조금 더 화려한 비주얼을 만들어보자. 이번에는 FFT 노드를 활용해볼 것이다. https://leere.tistory.com/73 vvvv gamma 패치 리뷰 :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 Audio visualization 오디오 시각화 (1) 버전: vvvv gamma 5.0 오늘은 과제로 제출했던 Selbstporträt의 vvvv gamma파일을 다시 풀어 어떻게 만들었는지,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메모해두려 한다. 우선 결과 이미지는 보라색계열의 점과 선들이 원 leere.tistory.com FFT 관련해서는 다른 프로젝트에서 활용했던 내용이 있어 관련 포스팅을 첨부하는 것으로 대체한다. 먼저 위와 같이 오디오에 반응하는 원을 만들어볼 것이다. 이과정까지의 패치, 전체 모습이.. 공감수 1 댓글수 2 2023. 11. 19.
  • vvvv gamma : Audio React / week5 지난번에 Audio 관련된 프로젝트를 개인적으로 만들었었는데, 이번에 조금 더 구체적으로 배웠다. 이런 형태인데 오디오의 크기에 반응하여 주전자(Teapot)의 크기가 변한다. 또한 일정 볼륨이 넘어가면 파란색에서 분홍색으로 색이 바뀐다. 전체적은 패치는 위와 같다. AudioPlayer를 통해 오디오 파일을 불러와준다. 이미지 파일과 마찬가지로 맥에서 불러올때에는 맥 경로가 아닌, 윈도우 경로를 통해 불러와주어야 경로 이탈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AduioPlayer는 AudioOut과 연결되어야 소리가 들린다. ToMono는 지금 오디오가 좌우 사운드를 다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이므로 편리한 오디오 데이터 사용을 위해 모노로 바꿔주는 과정이다. 또한 Meter 노드도 상당히 생소한데 Help창의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16.
  • vvvv gamma : SimplexNoise와 UI / week4 week3 마지막 내용이다. 결과물은 위와 같다. 주파수 모양의 아웃풋에 위에 있는 슬라이드 바로 여러가지 값들을 바꿀 수 있다. 4개의 점으로 이어진 폴리건을 만들어준다. 여기서 여러 수학적 주파수를 이용해, 다양한 테스팅을 이어가볼 것이다. include low level node를 포함해 sin 노드를 검색해 추가한다. Sin(/Math) Sin을 Y에 연결시킨뒤 count와 Width 값을 높이면 사인파 모습이 어렴풋이 보인다. sin 노드 대신 SimplexNoise 노드로 대체하였다. 가로선에 노이즈가 생겨나는데 이때 LinearSpread의 Count값을 높이면 선이 부드럽게 변한다. SimplexNoise의 Octaves, Frequency, Persistance(지속) 값을 조정하여 그래..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1. 13.
  • vvvv gamma : Stride Sphere와 연결된 Line 만들기 / week4 두번째 예제는 3D를 다루었다. 3차원 공간에 구들이 있고 그 사이로 선들이 연결되어 있다. 구와 구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선이 연하다. (알파값이 낮다.) 구를 만드는 부분은 늘 반복해오던 구조이다.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RandomSpread(Vector3)의 Center와 Size의 값의 차이가 클수록, 구들이 더 멀리 떨어져있다는 점이다. Wanderer의 Position(Vector3) 아웃풋들이 ConnectAll과 연결된다. ConnectAll 노드가 이해하기가 좀 까다로웠다. 구체적인 메커니즘은 잘 모르겠지만 Vector3 Spread값들을 받아 그 사이를 연결하는 시작점과 끝점을 만든다. Threshold가 높을수록 각각의 Vector값들이 모든 Vector들과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결..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10.
  • vvvv gamma : Definitions 활용하기 / week4 첫번째 예제는 비교적 간단하다. 원이 계속해서 움직이고 마우스를 가져다대면 서서히 작아지며 랜덤한 소리가 들린다. 핵심적인 부분은 이 부분이다. WandererCircle은 기존에 존재하는 노드가 아닌, 직접 커스터마이즈한 노드이다. 노드를 어떻게 하면 커스터마이즈하여 만들 수 있는지 살펴보자. Definations 활용하기 vl 파일은 마치 한장의 종이와 같다. 앞면에는 노드 패치(Application)가 있고 뒷면에는 Definations이 있다. document를 눌러 Definitions을 눌러준다. 숏컷은 Alt+Shift+A 뒷면이 펼쳐지면 process 노드를 추가한다. (이탤릭체로 써있는) 원하는 노드 이름을 지어준다. (더블클릭을 통해 수정 가능) 오른쪽 마우스를 눌러 Open을 누르면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1. 8.
  • vvvv gamma : 맥 경로 에러 해결 방법 * 버전 : vvvv gamma 5.0 맥에서 vvvv gamma를 사용하다보면 발생하는 문제들이 많다. 나는 Parelles를 통해 윈도우를 가상머신에서 돌리며 vvvv gamma를 실행시키고 있다. 그래서인지 솔직히 맥에서 vvvv gamma를 사용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고 한다. 하지만 맥밖에 없으니 어쩔 수 없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문제가 바로 경로이탈 문제다. vvvv gamma에서는 맥을 거치는 경로를 찾지 못하고, 특히 절대 경로를 입력하라고 나온다. 두가지의 해결 방법이 있다. 1. 윈도우에 파일을 만들어 해결하기. 윈도우 C 드라이브 안에 패치 파일을 만들고, 이미지 파일도 C 드라이브 안에 저장한다. 유의할 점은 파일을 열때, 맥을 거쳐서 여는게 아니라 윈도우를 거쳐 열어야 한..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31.
  • vvvv gamma : VL.Stride (3D) 작업 시작하기 / week2 워크숍의 첫주는 기본적인 설명들이라서 따로 메모해두지 않았다. 이번 주차부터는 새로운 내용들이 꽤 많았다. VL.Stride를 활용하여 3D 작업을 진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3D 작업을 위해서는 VL.Stride 라이브러리를 꼭 추가해주어야 한다. 대략 이렇게 테스트 모델 몇개들을 띄우고 다양한 머테리얼을 입혀보았다. Stride의 경우 기본 작업 환경이 어느정도 정해져있다. SceneWindow에 RootScene을 연결하고, RootScene에 기본적인 하늘과 빛 등이 배치되어 있는 SkyboxLight를 추가한다. (SkyboxLight가 없으면 화면이 까맣게 보인다.) PostFX는 SceneWindow의 인풋에 바로 연결해준다. BrightFilter, LightStreak, LensFlare..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31.
  • vvvv gamma 공부 방법 기본적으로 내가 사용하는 vvvv gamma를 공부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1. 공식 유튜브 튜토리얼 찾아보기 https://leere.tistory.com/59 vvvv gamma : Navigating the Environment / VL1. Node Institute에서 유튜브를 통해 공개한 튜토리얼 영상이 있다. 완전히 처음 접하는 초급자를 위한 영상이다. * VVVV gamma 5.0 Tutorial for Absolute Beginners https://youtu.be/7m1EzfxUtzo?si=61xbom0k9dart5hM 첫 영상이 leere.tistory.com 2. Node Institue 튜토리얼 보기 vvvv gamma 채널에 들어가, 열려있는 무료 튜토리얼들을 볼 수 있다. ht..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31.
  • vvvv gamma 패치 리뷰 :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 Audio visualization 오디오 시각화 (3) 1.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2. 원을 만든 다음, 소리에 따라 크기가 반응하게 하기. 3. 그 원의 아웃라인을 따라 점이 만들고 그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기. 4. 최종적으로 보여줄 화면에 맞춰 효과를 주거나 값들을 조정하기. 만든 원 위로 점들이 생겨나도록 해보자. 먼저 길을 따라 계속 이동하면서 소리가 날때, 그 지점에 원이 찍혀야 한다. AddPoly의 아웃풋 SKPath이 바로 길이 된다. Path를 순차적으로 따라가기 위해 SamplePath와 연결한다. (SamplePath에 LFO를 연결하여 반복적으로 패스를 따라 움직이도록 한다.) SamplePath 노드에 관한 내용은 아래에 메모해두었다. https://leere.tistory.com/83 vvvv gamma 노드 리뷰 : How to..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26.
  • vvvv gamma 노드 리뷰 : How To Manage a queue of items (Queue 예제) Queue의 예제를 열어보자. 마우스를 움직일때마다 10개의 원들이 만들어지며 따라온다. Queue : (in) - Input(T), Frame Count, Clear, Insert (out) - Spread => Insert가 true가 될때마다 input이 저장된다. Frame Count 개수만큼 Queue에 쌓이게 된다. 위 예제에서 Frame Count가 10이기 때문에, 10개의 원들이 보여지는 것이다. 마우스 좌표가 바뀔때마다 Changed의 값이 true가 되면서 Queue의 Insert도 true가 된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26.
  • vvvv gamma 노드 리뷰 : How to Sample a path (SamplePath 예제) 오늘은 길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SamplePath의 예제를 분석해볼 것이다. 유의할 점은 먼저 VL.Skia 라이브러리를 눌러 설치해주어야 하고, "Include low level nodes"를 체크해주어야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Tangent 아웃풋이 있는, 위에 것을 선택했다. 예제를 열어보면 위와 같은 패치로 구성되어 있다. Cons 노드를 통해 노란 사각형이 만들어질 곳들의 좌표를 구성한다. Cons는 세부 선택에 따라 어떤 인풋과 아웃풋을 받을지 달라지는 노드이다. Array를 선택한다면 array 인 아웃, Spread를 선택한다면 spread 인 아웃을 가지게 된다. 위 예제에서 사용한 타입은 Spread이다. Cons : (in) - input, input... (Ctr..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25.
  • 모션그래픽 : 인체 리깅 모션그래픽 리깅이 궁금해 내용을 찾다가 너무 괜찮은 튜토리얼 영상을 발견했다. 한국어일 뿐 아니라, 자료제공도 해주셔서 금방 따라하기 너무 좋았다. 다른 영상에 듀익 바셀 설치방법도 안내해주신 영상이 있어 하나씩 보고 따라했다. *영상출처 : 유튜브 "도비의정석" 채널 https://youtu.be/NA3V6lCUEOw?si=9zwqyUYyrYBtBNXi 다뤄볼 내용은 듀익 바셀을 이용한 IK리깅이다. 먼저 제공해주신 일러스트 파일을 가져온다. 가져올때는 위와 같은 설정으로 불러온다. 만들어진 컴포지션에 들어가보면 굉장히 세세하게 나누어져 있다. 머리로 묶어준다. (Pre-Compose) Adjust composition duration... 옵션은 체크해주지 않았다. Pre-Compose 해두면 항상 ..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24.
  • vvvv gamma 패치 리뷰 :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 Audio visualization 오디오 시각화 (2) 1.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2. 원을 만든 다음, 소리에 따라 크기가 반응하게 하기. 3. 그 원의 아웃라인을 따라 점이 만들고 그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기. 4. 최종적으로 보여줄 화면에 맞춰 효과를 주거나 값들을 조정하기. 지난 글에 이어서, 받아온 오디오 데이터에 반응하는 원을 만들어볼 것이다. 이번 단계에서 최종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다. 화면에 원 하나가 있고, 소리가 커질수록 바깥쪽으로 더 크게 튀어나오게 된다. 3시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갈수록 주파수가 낮은 영역대부터 높은 영역대가 분포된다. 가장 먼저 원의 크기가 소리의 크기에 따라 반응하도록 만들기 위해서 Meter노드의 Level 아웃풋을 가져올 것이다. 소리에 따라 왔다갔다하는 게이지바로 float이 표현되어 있다. 일반적인 fl.. 공감수 1 댓글수 0 2023. 10. 23.
  • AffterEffect 단축키 및 기능 정리 * AfterEffect 2024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 Ctrl D : 복사 Ctrl C V 복사 후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Ctrl Shift C : Pre 컴포지션 만들기 (Pre-Compose) Alt / : 미리보기 화면 100% 크기로 맞추기 Ctrl Shif H : 레이어의 조절점을 보이거나 보이지 않도록 한다. (Show Layer Controls) Ctrl T : 텍스트 입력툴 (Type Tool) Ctrl -> / Ctrl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21.
  • vvvv gamma 노드 리뷰 : How to generate a random walk (Wanderer 예제) 오브젝트를 랜덤하게 움직일 수 있는 Wanderer 노드 예제에 대해 정리해보았다. Wanderer 노드를 선택한 상태로 F1을 누르면 예제를 열 수 있다. (예제가 없는 노드들도 많다.) 패치는 이렇게 구성되어있다. 결과 영상이다. 먼저, Wanderer 노드를 살펴보면 다양한 인풋들을 보인다. Wanderder: (in) - Start(Vector2), Width(Vector2), Range Mode, Main Direction, Direction, Deviation, Speed, Smoothing, Reset, Walk(Boolean) (out) - Position(Vector2) => Start: 시작점을 정한다. Width: 오브젝트가 돌아다니는 범위를 설정한다. Range Mode: 세가지 버..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9.
  • vvvv gamma 패치 리뷰 :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 Audio visualization 오디오 시각화 (1) 버전: vvvv gamma 5.0 오늘은 과제로 제출했던 Selbstporträt의 vvvv gamma파일을 다시 풀어 어떻게 만들었는지,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메모해두려 한다. 우선 결과 이미지는 보라색계열의 점과 선들이 원 모양으로 반복되어 생기는 모습이다. 또한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 소리가 클수록 원의 크기가 커지며 더 바깥쪽에 생겨나게 된다. 소리가 설정해둔 일정 기준보다 작다면 원은 생기지 않는다. 최종적인 결과가 담긴 패치화면이다. 우선, 큰 순서로 노드 추가 및 연결 과정을 정리하자면, 아래 순서로 나열할 수 있다. 1. 오디오 데이터 받아오기. 2. 원을 만든 다음, 소리에 따라 크기가 반응하게 하기. 3. 그 원의 아웃라인을 따라 점이 만들고 그 사이를 선으로 연결하기. 4. 최종적으로 .. 공감수 0 댓글수 2 2023. 10. 16.
  • „Ziegel“ Dokumentation Titel: Ziegel Genre: Objekt Kurs: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2 / Gestaltungsprozess 2 Proffesor: Ali Böll Title: Bricks Genre: Object Course: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2 / Gestaltungsprozess 2 Professor: Ali Böll Ich habe die Aufgabe erhalten, zur Getreideverkehrsanlage in Gröpelingen zu gehen und 10 extreme Perspektiven des Gebäudes festzuhalten. Ich habe die Anlage persönlich bes..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6.
  • „Blauröckchen“ Dokumentation Titel: Blauröckchen Gruppenarbeit: Ihsane Darssi, Katharina Bikhno, Shang La, Bishal Chonker, Seoyeon Lee, Emely Grundmanns Genre: Film Kurs: S2023. Medieninformatik2 Proffesor: Udo Frese Tutor: Daniel Fidel Title: Blue coat Group work: Ihsane Darssi, Katharina Bikhno, Shang La, Bishal Chonker, Seoyeon Lee, Emely Grundmanns Genre: Film Course: S2023. Medieninformatik2 Professor: Udo Frese Tuto..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5.
  • „Sanduhr in der Regenbogenwelt“ Dokumentation Titel: Sanduhr in der Regenbogenwelt Genre: Spiel (Unreal Engine) Kurs: S2023. Medieninformatik2 Proffesor: Udo Frese Tutor: Daniel Fidel Title: Hourglass in the rainbow world Genre: Game (Unreal Engine) Course: S2023. Medieninformatik2 Professor: Udo Frese Tutor: Daniel Fidel Dieses Spielkonzept erzählt die Geschichte einer Sanduhr in der Regenbogenwelt, die auf der Suche nach goldenen Sandkör..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4.
  • „Ich“ Dokumentation Titel: Ich Genre: Video Kurs: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2 / Gestaltungsprozess 2 Proffesor: Ali Böll Title: I Genre: Video Course: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2 / Gestaltungsprozess 2 Professor: Ali Böll Dieses Projekt wurde unter dem Thema "Gehe nach Blockland, finde deinen eigenen schönen Ort und schreibe ein Gedicht" durchgeführt. Ich entdeckte einen Bach in Blockland und bemerkt..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14.
  • „Always“ Dokumentation Titel: Always Genre: Interaktive Medienkunst Kurs: S2023. Expanded Animation Proffesor: Lorenz Potthast Title: Always Genre: Interactive Media Art Course: S2023. Expanded Animation Professor: Lorenz Potthast This project revolves around the theme of "our thoughts and concerns." I felt that the thoughts that trouble us go through a constant cycle of receding and returning, much like the movement..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4.
  • „Leere“ Dokumentation Titel: Leere Genre: Installation Kurs: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2 / Generative Gestaltung Proffesor: Ralf Baecker Title: Emptiness Genre: Installation Course: S2023. Gestalterische Grundlagen / Generative Gestaltung Professor: Ralf Baecker "Leere" ist eine Installationskunstskulptur, ein Projekt, das sich auf das Thema der Leere konzentriert. Leere ist eine Emotion, die jeder erlebt. Man..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14.
  • vvvv gamma 노드 리뷰 : Reference Resample (ResampleBSpline 예제) *버전: vvvv gamma 5.0 만들고 싶은 이미지가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ResampleBSpline 노드 공부가 필요해서 예제를 분석했다. 노드의 예제를 찾는 방법은 간단하다. 설명이 필요한 노드를 클릭하고 F1을 누른다. 딱 ResampleBSpline만을 포함하는 내용은 아닌 모양이다. Reference Resample이라는 이름으로 창이 띄워졌다. ResampleBSpline을 포함해 다양한 Resample노드들의 아웃풋을 비교해서 한번에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초록선들이 움직이고 위에는 슬라이더바가 보이는 창이 나타난다. 하나씩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가장 먼저 노드의 시작점이 상단 부분을 살펴보면 LFO를 RandomSpread와 연결해둔 것을 볼 수 있다. LFO의 Cy..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11.
  • vvvv gamma : Controlling Patches / VL7.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LOX32diUgOQ?si=TZeH1j2nQCxK3nQA 마지막 튜토리얼 영상이다. 마우스와 키보드를 이용한 인터랙션을 진행하는 내용이었다. 우선, 지난번에 Sphere들의 위치로 랜덤하게 움직이는 Box예제를 가져왔다. 1. Mouse Mouse 노드를 추가해서 RootScene에 추가한다. (RootScene의 input 핀을 늘이기 위해서는 Ctrl + 를 누른다.) Mouse 노드의 position in the world 아웃풋을 XYz노드를 추가해 연결한다. 그리고 Box의 TransformSRT의 Translation에 연결한다. => 마우스의 위치에 따라 박스가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는 Switch 노드에 대해 알아볼 것..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8.
  • vvvv gamma : Spreads & Iteratio / VL6. *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3u3QOd4UyWM?si=eh6v0s6EA1VC_miC 지난번 영상에서 만들었던 것과 같은 구조에서, Box가 여러개의 Sphere의 위치로 랜덤하게 움직이는 결과를 만들 것이다. 우선, 여러개의 Sphere를 만들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똑같은 내용을 계속 복사해서 붙여넣는 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 조금 더 효율적인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Cons(/spread): 여러개의 데이터(float, integer, vector)를 받아 하나의 Spread로 묶어준다. (여기서는 output이 Spread이다.) ForEach(/이텔릭체): splicer로 통과시키면 해당 Spread의 개수만큼 반복된다. .. 공감수 0 댓글수 0 2023. 10. 7.
  • vvvv gamma : The Stride Rendering Pipeline / VL5. *아래 영상을 보고 노트한 내용이다. https://youtu.be/4rDgVe1F0gg?si=1A0--d5V-nrpfBDW 이 영상에서는 3D 오브젝트를 렌더해보는 내용을 다뤘다. 1. VL.Stride Stride는 일종의 3D 오브젝트를 렌더링할 수 있는 패키지를 모아놓은 것처럼 보인다. 우선 나의 프로젝트에 Stride 패키지를 추가해야 한다. VL.Stride를 검색하면 +VL.Stride라는 박스가 나타나는데 눌러 추가한다. 그리고 stride를 다시 검색해보면 아래처럼 폴더가 나타난다. 폴더를 열어보면 아래처럼 다양한 노드들이 나타난다. 살펴보면 Camera, Rendering, Textures 등 3D 렌더와 관련된 다양한 노드들이 나타난다. 먼저 창을 띄우기 위해서 SceneWindow를.. 공감수 0 댓글수 1 2023. 10. 6.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