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S 웹사이트 배포 (1) / IP, 도메인, 포트 등 배포+운영관리 중요 용어Programming/Web Programming 2023. 5. 30. 01:19
웹사이트가 완성되어 배포를 공부해보려고 한다.
프론트, 서버 공부를 했던 강의를 마저 수강했다.
이 포스팅은 강의를 듣고 공부했던 내용을 기록한 내용이다.
* 강좌는 아래 링크에서 수강하고 있다.
클래스 101 [유료강좌]
개발자 사관학교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https://class101.net/ko/products/619b3c6b776fd0000d72459b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
웹 페이지, 열심히 공부했는데 아직도 여러분 컴퓨터에서만 확인할 수 있나요? 이제 사이트 배포도 해봅시다! HTML, CSS 학습에서 멈추실 건가요? 웹 개발을 공부했다면, 배포까지 해보셔야 합니다
class101.net
CHAPTER 1: 배포를 위한 기초 지식 훈련!
[1. 배포란(Deploy)?]
배포의 개념부터 알아보자.
배포를 한다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전세계 네트워크와 특정 주소(IP)로 연결된 컴퓨터(서버 컴퓨터)에
내 웹 사이트(웹페이지만 또는 웹페이지+서버)를 설치하여
사람들이 특정 주소(도메인)로 들어오면 내가 만든 사이트가 보여지도록 하는 것.
그렇다면 전세계 네트워크와 연결된 서버 컴퓨터가 필요하다.
영화에서만 보던 서버컴퓨터!! 중요한건 나에게는 그 컴퓨터가 없다..🤔
서버컴퓨터는 엄청 값 비싸고 구축방법도 까다로워 기업이 아닌 개인이 소유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이 모든 것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게 구축해놓은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 서버컴퓨터를 임대하여 원격으로 웹사이트를 설치하고 명령어를 통해 배포할 수 있다.
크게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클라우드에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 강좌에서는 아마존을 이용한다고 하여 나도 아마존을 이용하려 한다.
웹사이트를 배포했다면 어떤 시간대에, 어떤 단말기를 통해, 어디서 사람들이 이 웹사이트에 접속하는지
트래픽을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웹사이트 관리 뿐 아니라 마케팅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단순히 배포에서 끝내는게 아니라 이러한 분석까지 이루어지는 구조를 만들어야 웹사이트 하나를
제작 및 배포까지 완료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은 직접 코드로 하나하나 짜줄 수도 있지만..
Google Analytics라는 서비스를 이용해 아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한 내용도 강좌에서 다룰 예정이라고 한다.)
[2. IP, 도메인, 포트 등 배포 / 운영관리 중요 용어들을 배워보자]
배포를 위해 알아두어야 할 용어들을 공부해보자.
1. URL이란?
url은 웹상에서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자원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소이다.
쉽게 정리하자면, 웹 페이지를 찾기 위한 주소이다.
url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https://www.naver.com:80?key=value
프로토콜 서브도메인 도메인 포트 쿼리
(1) 프로토콜:
인터넷 상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 = 약속.
과거에는 http라는 프로토콜을 주로 이용했는데 최근에는 https가 많이 사용된다.
https는 http보다 보안(security)에 더 신경쓴 프로토콜이다.
또한 일반적인 http는 http:80라는 80포트가 뒤에 숨겨져있다.
https는 https:433이라는 433포트가 뒤에 숨겨져 있다.
각 해당 숫자의 포트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를 지닌다.
기본적으로 숨김 처리가 되어 있어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는다.
(2) 포트:
통신에 사용되는 '방'같은 개념이다.
어떤 통신을 하냐에 따라 포트 번호가 다양하다.
목표하는 통신에 따라 어떤 포트를 열어줄지 직접 결정해야 하며, 대표적인 포트는 아래와 같다.
20: FTP(data)
21: FTP(제어)
22: SSH (외부에서 원격 접속을 위한 방)
23: 텔넷
53: DNS
80: 월드 와이드 웹, HTTP
119: NNTP
443: TLS/SSL 방식의 HTTP
이후 실습을 통해 포트를 하나씩 열어보며 구체적으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볼 예정이다.
(3) 도메인:
도메인이란 내 서버 주소를 쉽게 부르기 위해 구매해서 연결한 이름이다.
기본적으로 서버컴퓨터를 임대하면 바로 123.123.123.123 와 같은 내 서버 주소(IP)를 받게 된다.
즉 임대한 컴퓨터의 네트워크 주소이다.
하지만 이런 숫자의 나열로는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의 이름을 딴 도메인을
구매하여 운영한다.
(4) 서브 도메인:
서브 도메인이란 도메인을 다양하게 부를 수 있는 방법이다.
컴퓨터를 임대한다는 것은, 아마존에 돈을 내고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를 정말 빌리는 것이다.
이때 www 뿐만 아니라 sub, mypage, etc 등 다양한 키워드를 설정하여 하나의 도메인을 통해 다양한 페이지를 보여줄 수 있다.
이는 아마존 도메인 관리 기능을 통해 이용이 가능하다. (아마존의 관리시스템이 매우 편리해보인다.🖍️)
(5) 쿼리:
웹 서버에 보내고 싶은 데이터는 쿼리문을 통해 전달이 가능하다.
key와 value를 한쌍(dictionary변수)으로 값을 전달한다.
(이 부분은 2교시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었었다.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서버프로그래밍 파트를 살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
(6) 호스팅(hosting):
호스팅이란, 간단히 말하자면 서버 컴퓨터를 임대해주는 서비스를 뜻한다.
앞서 말한 아마존이 이 서비스에 해당한다.
서버 컴퓨터는 24시간 365일 돌아가고 있어야 하는데, 우리 컴퓨터로는 이런 운영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24시간 돌아가는 서버 운영만을 위한 컴퓨터를 호스팅을 통해 임대한다.
아마존에서는 단순히 호스팅 서비스 뿐 아니라 호스팅을 위한 다양한 관리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물론, 무료는 아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아마존 웹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가입한뒤, 사용해보자!
출처: 클래스101 / [웹 개발자 단과반 3교시] 초간단 AWS 웹사이트 배포 및 구글 애널리틱스 코드 심기 - 개발자 사관학교
'Programming > Web Program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웹서비스 배포 (3) / EC2 서버 컴퓨터 임대하기 (0) 2023.05.31 AWS 웹서비스 배포 (2) / AWS 가입하고 사용해보기 (0) 2023.05.31 Web 백엔드 (11) / 영화 리뷰 사이트 제작 (2) - API 만들기 (2) 2023.05.18 Web 백엔드 (10) / 영화 리뷰 사이트 제작 (1) -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바인딩하기 (1) 2023.05.17 Web 백엔드 (9) / 데이터베이스(MySQL)와 API 만들기: 데이터 업데이트, 삭제 (0) 2023.05.16